[확률 통계] 표본 분산을 n-1로 나누는 이유 (구 블로그 글 복구)
·
학문
- 만약 어떤 집단의 특성을 알아내어 어떠한 통계적 정보를 이끌어내고자 한다고 할때,그 집단의 모든 데이터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데이터 접근 및 수집문제가 있을수 있고, 비용문제도 있을 것입니다. 예를들면 대한민국 국민의 '신장'이라는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합시다. 이때, 대한민국 국민 키의 평균을 구한다고 하면, 일일이 자를 들고 그 데이터를 모으는 것은 말도안되는 비용이 들며, 쌓인 데이터만 하더라도 엄청나게 많아 다루기도 힘들 것입니다. 그렇기에 보통 통계 조사를 한다면, 원하는 집단을 대표하는 집단을 선정하여 그것을 모집단의 비율 축소판으로 가정하고 사용하게 됩니다. - 용어정리모집단이란, 위에서 말했던, 정보를 얻기 희망하는 특정 집단 자체를 의미합니다.표본집단이란,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선정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