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처리] 12. 소프트웨어 테스트

2025. 4. 15. 09:01·Study/Computer Science

(소프트웨어 테스트 설명)

- 테스트란,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 성능, 사용성, 안정성 등의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하는 활동입니다.

소프트웨어 내부에 숨어있는 결함을 찾아내 이에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최종 목적입니다.

 

- 소프트웨어 결함 법칙

1. 결함 집중(Defect Clustering) : 결함의 대부분의 특정 모듈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낚시 법칙 : 물고기가 잘 잡히는 낚시 포인트가 존재하는 것처럼 특정 위치에서 많은 결함이 발생합니다.

3. 파레토(Pareto) 법칙 : 결함의 80% 는 20% 의 기능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4. 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 : 동일 테스트 케이스로 반복 실행을 하면 새로운 결함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5. 오류-부재의 궤변(Absence of Errors Fallacy) : 결함이 없더라도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품질 보증이 불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소프트웨어 결함 법칙에 따라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오류-부재의 궤변 법칙에 따라,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에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먼저 검사하고,

일반적으로는 모든 사항에 대하여 모든 종류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은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결함 집중의 법칙에 근거하여 에러가 일어날 수 있을 부분에 테스트를 집중하며,

살충제 패러독스 법칙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테스트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테스트와 디버깅

테스트는 제품에 대한 검증(개발자 입장) 및 확인(사용자 입장)을 수행하는 것이고,

디버깅은 프로그램에 대해 오류를 찾고 해결하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테스트 케이스란?)

- 테스트케이스란, 설계 기반 테스트의 산출물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기 위한 설계를 의미합니다.

테스트 입력값, 실행 조건, 기대 결과로 구성됩니다.

테스트케이스는 정확성, 재사용성, 간결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 테스트케이스 작성 절차

1. 테스트 계획 검토 및 자료 확보 :

요구사항 및 기능 명세서 등을 확인하여 테스트 대상 정보를 파악합니다.

 

2. 위험 평가 및 우선순위 결정 :

소프트웨어 기능별 오류 발생시의 위험 수준을 예측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3. 테스트 요구사항 정의 :

테스트 대상, 특성, 조건, 기능 식별 등의 요소를 정의합니다.

 

4. 테스트 구조 설계 및 테스트 방법 결정 :

테스트 케이스 형식, 분류, 절차, 장비, 도구 등을 결정합니다.

 

5. 테스트 케이스 정의 :

테스트 입력값, 실행조건, 기대 결과 등에 대해 테스트 케이스 작성

 

6. 테스트 케이스 타당성 확인 및 유지보수 :

작성된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유용성 검토

 

- 테스트 오라클

어떤 입력에 대해 예상되는 출력(또는 상태 변화)을 알고 있을 때,

실제 결과와 비교해서 정상/비정상을 판별하는 기준 역할을 합니다.

예시로 쉽게 설명하자면,
어떤 함수 add(2, 3)의 결과가 5가 되어야 한다고 알고 있으면, 그 "5"가 오라클입니다.
이때, 만약 함수가 6을 반환했다면, 오라클 기준과 다르므로 "테스트 실패"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오라클의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참(True) 오라클 : 

정확하고 완전한 기대 결과를 알고 있는 경우입니다.
실제 결과가 참 오라클의 기대값과 일치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오류"로 판단합니다.
예시 : 수학 계산기 테스트에서 add(2, 3)의 결과는 무조건 5 → 참 오라클은 5
특징 : 정확성 높음. 하지만 모든 시스템에 대해 참 오라클을 만들기는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 미션 크리티컬(매우 중요)한 우주선 발사, 항공기 등의 사고 비용이 막대한 부분에서는 테스트 비용이 상승하더라도 참 오라클을 사용해야 합니다.

 

2. 샘플링(Sampling) 오라클 :

전체 입력 케이스 중 일부에 대해서만 정답을 알고 있는 경우입니다.
예시 : 새 소프트웨어 기능 중 일부 주요 기능만 수동 검증 가능할 때
특징 : 비용이나 시간 절약되나, 테스트의 완전성은 떨어질 수 있음

 

3. 휴리스틱(Heuristic) 오라클 :

결과가 정확히 맞는지는 몰라도, 일반적인 규칙이나 경험에 따라 "이건 잘못됐을 가능성 있음"을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직관, 경험, 일반적인 기준을 활용합니다.
예시 : 파일 이름에 특수문자가 들어가 있는데도 에러 없이 저장됨 → 비정상 의심
    응답 시간이 갑자기 비정상적으로 늘어남 → 성능 문제 의심
특징 : 경험 많은 테스터가 유리하며, 명확하지는 않지만 현실에서 유용한 오류 탐지 가능입니다.

 

4. 일관성 검사(Consistent) 오라클 :

정답은 모르지만, 시스템 간 결과가 일치해야 한다는 기준을 기반으로 비교합니다.
동일한 입력을 여러 환경, 버전, 구성에서 실행해 결과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예시 : 소프트웨어의 구 버전과 신 버전에서 결과가 다름 → 오류 의심
    로드 밸런싱된 서버 A, B에서 같은 요청 결과가 다름 → 이상 가능성
특징 : 정답을 몰라도 비정상 탐지가 가능하며, 회귀 테스트나 동일 기능 비교에 많이 활용됩니다.

 

(소프트웨어 테스트 절차)

-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테스트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1. 테스트 계획 단계 :

테스트 목적 및 범위 정의

테스트 대상 시스템의 구조 파악

테스트 일정 계획

테스트 종료 조건 결정

테스트 조직 및 비용 산정

 

2. 테스트 분석 및 디자인 단계 :

테스트 목적 및 원칙 검토

요구사항 분석

리스크 분석 및 우선순위 지정

테스트 데이터 준비

테스트 환경 및 도구 준비

 

3. 테스트 케이스 및 시나리오 작성 단계 :

테스트 케이스 작성

테스트용 스크립트 작성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테스트 케이스 검토

 

4. 테스트 수행 단계 :

테스트 데이터 로딩

테스트 수행

발견된 결함 기록

 

5. 테스트 결과 평가 및 리포팅 단계 :

테스트 결과 정리

테스트 프로세스 리뷰

테스트 결과 평가

테스트 리포팅

 

- 소프트웨어 테스트 산출물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마친 이후의 산출물은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1. 테스트 계획서 :

테스트 목적 및 범위, 수행 절차, 일정, 역할, 시스템 구조, 종료 조건 등으로 구성

 

2. 테스트 케이스 :

테스트 설계 산출물, 입력값, 실행 조건, 기대 결과 등으로 구성

 

3. 테스트 시나리오 :

항목별 테스트 수행을 위한 여러 테스트 케이스의 동작 순서로 구성

 

4. 테스트 결과서 :

테스트 절차 및 결과에 대한 평가 및 분석으로 구성

 

- 테스트 환경 구축

테스트를 수행하기 전에 테스트가 수행되는 환경을 먼저 구축해야합니다.

1. 개발된 응용 소프트웨어가 동작될 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시설을 구축합니다.

2. 물리적으로 독립된 환경 구축이 어려울 시에는 가상 머신 기반 환경 및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3. 물리적 분할이 어려운 네트워크 환경의 경우 VLAN 등의 기법을 사용합니다.

 

(소프트웨어 테스트 유형)

- 목적 기반 테스트

1. 회복(Recovery) 능력 테스트 : 실패를 유도해서 정상 복구가 가능한지 테스트

2. 보안(Security) 테스트 : 소스코드 내외부 보안 결함에 대한 테스트

3. 강도(Stress) 테스트 : 과부하 환경에서 정상 동작 테스트

4. 성능(Performance) 테스트 : 응답 시간, 처리량, 반응 속도 등 성능지표 테스트

5. 구조(Structure) 테스트 : 시스템 내부 로직, 구조적 복잡도 등 테스트

6. 회귀(Regression) 테스트 : 기능 추가 및 수정했을 때, 기존 기능이 여전히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

7. 병행(Parallel) 테스트 : 새 버전을 만들었을 때 기존 버전과 동시에 테스트 하여 성능 및 안전성을 비교합니다.

 

- 설계 기반 테스트

1. 명세 기반 테스트 : 소프트웨어 명세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테스트

2. 구조 기반 테스트 : 소프트웨어 구조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테스트

3. 경험 기반 테스트 : 유사한 테스트를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테스트

 

-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테스트 분류

1. 정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소스코드를 분석합니다.(인스펙션, 동료 검토, 워크스루 등)

2. 동적 테스트 :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보면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화이트박스, 블랙박스)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 설명)

- 앞서 분류한 동적 테스트 방식 중 화이트 박스 테스트 기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 테스트의 내부 구조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프로그램의 내부 동작을 이해하고, 그 흐름을 따라가며 논리적 오류를 검증하는 테스트 기법으로,
즉, “코드 안을 들여다보고”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 설계서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흐름도를 작성하여 논리적 순환 복잡도(Cyclomatic Complexity) 를 측정합니다.

 

순환 복잡도(Cyclomatic Complexity)란,
소스 코드 내 독립적인 실행 경로의 수를 계산하여, 코드가 얼마나 복잡한지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 함수 안에 조건, 분기, 반복이 얼마나 많은가?" 이며,
복잡할수록 버그가 생길 가능성도, 테스트 케이스 수도 많아집니다.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의 핵심적인 지표로,

코드의 복잡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테스트 커버리지를 계획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순환 복잡도의 계산 공식은,

M = E - N + 2P

M: 순환 복잡도
E: 엣지(Edge) 수 (흐름의 방향)
N: 노드(Node) 수 (명령어 또는 조건)
P: 프로그램(또는 함수)의 개수

 

입니다.

 

복잡도 수치에 따른 해석은,

복잡도 범위 의미
1~5 단순, 테스트 쉬움
6~10 보통, 약간의 주의가 필요
11~19 복잡, 리펙토링 고려
20~49 너무 복잡, 리펙토링 강력 권장
50 이상 정상적이지 못한 구조, 리펙토링 필수

 

- 제어 구조 검사

순환 복잡도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 수(순환 복잡도 = 테스트 케이스 수), 리펙토링 대상 선정, 테스트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합니다.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시에는,

조건문 중심으로 테스트 하는 조건 검사 우선,

루프문 중심으로 테스트하는 루프 검사,

변수 정의와 사용을 중심으로 테스트 하는 데이터 흐름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설명)

- 앞서 분류한 동적 테스트 방식 중 블랙 박스 테스트 기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 블랙박스 테스트(Black Box Testing) 기법은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나 동작 방식은 고려하지 않고, 입력과 출력만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는 테스트 방식입니다. 주로 기능 테스트에 사용되며,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사용할지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1. 동등 분할(Equivalence Partitioning) 테스트 :

테스트 입력값에 유효값과 무효값을 균등하게 입력하여 테스트 하는 기법입니다.

 

2.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 :

입력 조건의 경계에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경계값 전후 데이터를 입력하여 테스트 하는 기법입니다.

 

3. 원인-효과 그래프(Cause-Effect Graphing) 테스트 :

입력 조건(원인)과 출력 결과(효과) 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그래프로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는 기법입니다.

 

4. 오류 예측(Error Guessing) :

과거의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기법입니다.

 

5. 비교(Comparison) 테스트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데이터를 제공하여 비교하며 진행하는 기법입니다.

 

[테스트 V-Model]

- 소프트웨어 테스트 진행의 프로세스는 V-Model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V-Model 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개발 단계                        테스트 단계
──────────────                ────────────────
요구사항 분석     →     ←     인수 테스트
시스템 설계       →     ←     시스템 테스트
아키텍처 설계     →     ←     통합 테스트
모듈/상세 설계    →     ←     단위 테스트
            구현 (코딩)

 

개발에서 테스트까지 진행되는 선형적 순서는,

 

요구사항 분석 -> 시스템 설계 -> 아키텍쳐 설계 -> 모듈/상세 설계 -> 구현(코딩) -> 단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 시스템 테스트 -> 인수 테스트

 

의 절차로 이루어지며,

구현을 중심으로 좌측이 개발 단계, 우측이 테스트 단계를 나타냅니다.

 

개발의 단계와 테스트 단계는 상호 단계별 검증 목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첫 단계인 요구사항 분석이 잘 구현 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마지막 단계인 인수 테스트가 필요하며,

상세 모듈 설계가 잘 구현 되었는지는 단위 테스트로 검증됩니다.

 

(단위 테스트(Unit Test))

- 소프트웨어의 작은 단위인 모듈, 컴포넌트, 함수의 기능을 중심으로 테스트를 하는 것입니다.

주로 개발자 본인이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여 진행하며,

개발 진행을 단위 테스트 작성 및 통과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을 TDD(Test 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 합니다.

 

- 개발과 동시에 무수한 테스트가 수행되며, 개발자 본인이 테스트를 주도하므로 화이트박스 테스팅 방식이 주가 됩니다.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 소프트웨어의 각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모듈간 상호작용) 관련 오류 및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체계적 테스트 기법들의 총칭입니다.

예를 들자면, 로그인 모듈과 채팅 모듈이 있을 때, 실제 로그인 후 채팅 모듈의 보안 관련 동작이 정상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통합 테스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단위 테스트가 끝이 났더라도 각 기능별 연계를 하는 시점에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행하는 테스트입니다.

 

- 통합 테스트 방식

통합 테스트의 방식은,

모든 모듈을 통합한 전체 시스템을 한번에 테스트하는 비점증적 방식,

통합 단계별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점증적 방식이 존재합니다.

 

비점증적 방식으로는 빅뱅 테스트가 있고,

점증적 방식으로는 통합의 방향별로 상향식, 하향식 통합 테스트로 나뉘어집니다.

 

- 빅뱅(Big Bang) 테스트

모든 모듈을 동시에 통합 후 테스트 하는 방식입니다.

원스탭으로 빠르게 전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지만,

장애 발견시 위치 파악이 어렵고, 모든 모듈이 개발된 상황에서만 진행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작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하향식(Top Down) 테스트

메인 제어 모듈을 시작으로 제어의 경로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통합하며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아키텍쳐의 제어 흐름을 검증하는데 효과적이며,

핵심 로직이 상위 모듈에 있는 경우 빠른 결함 발견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

 

모든 모듈이 전부 준비되어 있을 필요가 없이, 상위 모듈이 준비되어 있다면 테스트 진행이 가능합니다.

만약 테스트하고자 하는 하위 모듈이 있을 때, 상위 모듈과 이를 연결해주는 중간 단계의 하위 모듈이 아직 구현되지 않은 경우,

테스트를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가지는 더미 모듈인 Stub 을 준비하여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Stub 이 너무 많을 경우 실제 구현시 동작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으므로 전체 구현이 완료된 이후에는 회귀 테스트를 통해 최종 검증을 수행해야 합니다.

 

하위 모듈이 통합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1. 깊이 우선 통합

해당 모듈에 종속되어 있는 모듈을 우선으로 탐색

             A
           /   \
         B       C
        / \     / \
       D   E   F   G

 

A -> B -> D -> E -> C -> F -> G

 

2. 너비 우선 통합

전체 구조에서 상위 레벨에서 하위 레벨로 탐색

             A
           /   \
         B       C
        / \     / \
       D   E   F   G

 

A -> B, C -> D, E, F, G

 

- 상향식(Bottom Up) 테스트

최하위 모듈에서 시작하여 제어의 경로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 통합하며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동일 주제의 하위 모듈끼리 클러스터링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며,

데이터 처리 흐름을 검증하는 데 적합합니다.

 

하향식 테스트에서는 더미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하위 모듈인 stub 을 생성했다면,

상향식 테스트에서는 클러시터링된 하위 모듈들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주체인 Driver 를 작성하여 미구현된 상위 모듈을 대체합니다.

 

- 회귀 테스트

통합 테스트시 Stub 이나 Driver 를 많이 사용하여 검증에 빈 곳이 존재하거나, 테스트 완료후 변경된 모듈이나 컴포넌트가 있다면 이로인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다시 통합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앞서 통합 테스트를 진행하며 테스트케이스를 정리했다면 동일한 테스트를 다시 한번 수행하는 것이 회귀 테스트입니다.

 

(시스템 테스트)

-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입니다.

예를들어 실제 소프트웨어 사용시점에 회원가입 -> 이메일 인증 -> 로그인 -> 마이페이지 접근 등 전체 흐름을 실제 사용하며 테스트합니다.

 

- 또한 통합된 소프트웨어가 목표 컴퓨터 시스템에서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이기도 합니다.

실제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만든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여 환격적인 장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인수(Acceptance) 테스트)

- 사용자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며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인수 테스트 단계에서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없다면 사용자에게 제공 후 개발 프로젝트가 종료됩니다.

 

- 알파 테스트 : 개발자가 준비한 환경에서 진행되는 테스트로, 개발자와 함께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사항을 직접 요청합니다.

베타 테스트 : 제한되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자가 테스트에 참여하며, 개발자에게 문제점을 통보합니다.

 

[테스트 자동화]

- 테스트 작업을 자동화 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단계별 자동화 도구 종류

1. 테스트 계획 : 요구사항 관리

2. 테스트 분석 : 테스트케이스 생성

3. 테스트 수행 : 테스트 자동화, 정적 분석, 동적 분석, 성능 테스트, 모니터링

4. 테스트 관리 : 커버리지 측정, 형상 관리, 결함 관리

 

- 테스트 자동화 도구의 장점

1. 반복되는 테스트 데이터 재입력 자동 자동화 가능

2. 사용자 요구 기능의 일관성 검증에 유리

3. 테스트 결과값에 대한 객관적 평가 기준 제공

4. 테스트 결과의 통계 작업 및 그래프 등 다양한 시각화 요소 제공

5. UI 가 없는 서비스에도 쉽게 정밀 테스트 가능

6.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고, 테스트 소요 비용 및 시간 단축

 

- 테스트 자동화 도구 단점

1. 테스트 도구 사용 방식 학습 필요

2. 테스트 과정을 테스트 도구에 맞추기 위한 추가 시간 필요

3. 상용 도구의 경우 도입 가격 및 관리 비용 필요

 

- 테스트 자동화 도구 유형

1. 정적 분석 도구(Static Analysis Tools)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지 않고 코드 관련 결함을 발견하는 도구입니다.

작성된 소스코드에 대한 이해가 있는 개발자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테스트 실행 도구(Test Execution Tools)

테스트용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도구입니다.

 

3. 성능 테스트 도구

소프트웨어 성능 목표인 처리량, 응답 시간, 경과 시간, 자원 사용률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테스트 단계에서 수행하며, 결과 해석에 전문 지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4. 테스트 통제 도구

테스트에 대한 계획 및 관리를 위한 도구입니다.

테스트 관리 도구, 형상 관리 도구, 결함 추적/관리 도구 등으로 다른 도구들과 연계하여 사용됩니다.

 

5. 테스트 하네스(Harness)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코드와 데이터들의 총칭으로,

단위/모듈 테스트 단계에서 테스트를 위해 개발자가 작성하는 더미 데이터, 더미 함수, 테스트 코드 등의 것입니다.

 

앞서 상/하향식 통합 테스트에서 설명했던 Test Driver, Test Stub 외에도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_Test Suites : 테스트 대상 모듈에 사용되는 테스트 케이스들의 집합

_Test Case : 입력값, 실행 조건, 기대 결과 등의 집합

_Test Script : 자동화된 테스트 실행 절차에 대한 명세

_Mock Object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테스트 진행을 위해 만든 가짜 객체

 

[테스트 이후 작업]

(테스트 결과 분석)

- 소프트웨어 결함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1. 오류(Error) : 개발자의 실수, 소스코드, 설계, 요구사항 해석 등에서 발생한 실수

2. 결함(Defect)/결점(Fault)/버그(Bug) : 오류로 인해 소프트웨어 안에 잘못 구현된 부분

3. 실패(Failure) : 결함으로 인해 잘못된 동작을 수행한 결과

 

- 테스트 보고

테스트 완료 후 테스트 계획에서부터 결과까지의 내용을 관계자에게 공유하고 기록에 남겨야 합니다.

테스트 보고서로,

테스트 계획, 소요 비용, 테스트 결과, 이로 판단한 소프트웨어 품질 상태 등을 포함한 문서를 만듭니다.

테스트 결과서는 결함과 관견된 사항을 중점적으로 기록하고, 결함의 내용 및 자원, 재현 순서를 상세히 기록합니다.

 

- 단계별 테스트 종료 시 테스트 실행 절차를 리뷰하고 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절차를 최적화하여 다음 테스트에 적용합니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테스트 -> 테스트 결과 정리 -> 테스트 요약 문서 작성 -> 품질 상태 분석 -> 테스트 결과서 작성 -> 테스트 실행 절차 및 전체 평가

 

(결함 관리)

- 테스트 수행 후 발견한 결함의 재발 방지 및 유사 결함에 대한 처리 시간 단축을 위해 결함을 추적 및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결함의 심각도를 표준 단계별로 정의하고, 심각도를 고려하여 관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_심각도 지표(높은 순) : 치명적(Critical), 주요(Major), 보통(Normal), 경미(Minor), 단순(Simple)

_우선순위 지표(높은 순) : 결정적(Critical), 높음(High), 보통(Medium), 낮음(Low)

 

우선순위 정렬 기준에 들어가지 않는 우선순위는,

즉시(지금 당장 처리 필요), 주의 요망(당장 처리는 하지 않더라도 주의를 기울일것), 대기(지시까지 현상 유지), 권고(우선순위 낮음에 속하고, 처리하면 좋을만한 내용)

입니다.

 

- 결함 관리 프로세스

 

계획 -> 기록 -> 검토 -> 수정 -> 재확인 -> 보고서 작성

 

위와 같습니다.

추가 사항으로는,

재확인 이후 수정사항이 잘 반영되지 않았다면 다시 수정 절차로 돌아갈 수 있으며,

기록에서부터 재확인까지의 절차는 결함 관리 정보용 DB에 입력하여 결함 관리 절차를 보조하는 모니터링 및 관리 툴을 구축하여 관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함 추이 분석)

- 결함 추이 분석이란, 테스트 완료 후 발견된 결함의 관리 측정 지표를 분석하여 향후 결함 발생을 추정하는 작업입니다.

- 결함 관리 측정 지표

1. 결함 분포 : 모듈 또는 컴포넌트 등에 결함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파악

2. 결함 추세 : 테스트 진행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결함 발생 추세 파악

3. 결함 에이징 : 등록된 결함이 해결되지 않고 지속되는 시간 파악

 

(결함 추적 상태)

- 결함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결험은 아래와 같은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결함 추적 상태

 

_결함 등록(Open) : 결함이 발견되어 등록된 상태

_결함 검토(Reviewd) : 등록된 결함을 검토중인 상태(해제, 보류, 할당 중 다음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확인)

_결함 할당(Assigned) : 결함 수정을 위해 담당자에게 연락한 상태

_결함 수정(Resolved) : 담당 개발자가 결함을 수정 완료한 상태

_결함 조치 보류(Deferred) : 우선 순위 및 일정에 의해 결함 수정 보류

_결함 종료(Closed) : 결함이 해결되어 개발 담당자가 종료를 승인한 상태

_결함 해제(Clarified) : 검토 결과 결함이 아니라고 판단한 상태

 

(Test Coverage)

- 테스트 커버리지란, 

전체 코드 중 테스트가 수행된 코드의 비율을 뜻하며, 테스트 품질의 측정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퍼센트(%)로 표현됩니다.

테스트 커버리지 수치를 통해 테스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나타내고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기능 기반 커버리지

소프트웨어의 전체 기증을 모수로 설정하여, 테스트가 수행된 기능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기능 기반 커버리지는 100% 달성을 목표로 하며,

UI 특화 시스템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화면 수를 모수로 사용합니다.

 

- 라인 커버리지

소프트웨어 전체 소스 코드 라인 수를 모수로 설정하고,

테스트가 이루어진 라인 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def add(a, b):
    if a and b:
        return a + b
    return 0

 

위와 같은 코드에서 add(1, 2) 를 실행했을 때,
if a and b: → 실행됨
return a + b → 실행됨
return 0 → 실행되지 않음
이 경우 테스트 코드 3줄 중 2줄이 실행되었으므로 라인 커버리지는 66% 입니다.

 

- 코드 커버리지

소스코드의 라인이 아닌 소스코드의 내용을 기반으로한 지표입니다.

1. 구문(Statement) 커버리지 : 프로그램의 각 코드 줄(구문, statement)이 최소 한 번 실행되었는지를 측정합니다.

if (a > 0) {
    b = 1;   // 이 줄이 실행되었는지를 확인
}

 

이 경우 if 조건이 true가 되어야 b = 1;이 실행됩니다.
조건이 거짓이라면 해당 구문은 실행되지 않고 커버리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2. 결정(Descision) 커버리지 :

분기점(if, switch, loop)의 각 경로(분기)가 실행되었는지 측정합니다.

if (a > 0) {
    doSomething();   // true 분기
} else {
    doOther();       // false 분기
}

 

a > 0이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 모두 테스트되어야 커버리지가 100%입니다.

 

3. 조건(Condition) 커버리지 :

복합 조건 내에 있는 각 개별 조건의 true/false 결과가 모두 나왔는지를 확인합니다.

if (a > 0 && b < 10) {
    ...
}

 

조건식은 (a > 0)과 (b < 10)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이 true/false 모두 한 번 이상 나와야 함

 

4. 조건/결정 커버리지 :

조건 커버리지 + 결정 커버리지를 모두 만족시키는 커버리지입니다.

 

5. 변형 조건/결정 커버리지(MC/DC) :

각 개별 조건이 전체 조건식 결과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테스트합니다.

쉽게 말하면, 조건이 여러 개 있어도 하나의 조건만 바뀌었을 때 전체 결과도 바뀌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if (A || B)

 

A가 true, B가 false → 전체 결과 true
A가 false, B가 false → 전체 결과 false
→ A의 값만 바뀌어서 전체 결과가 바뀌었는지를 확인

 

6. 다중 조건 커버리지 :

모든 조건의 가능한 조합(true/false)을 전부 테스트하는 커버리지입니다.

if (A && B)

 

가능한 조합:
A = true, B = true
A = true, B = false
A = false, B = true
A = false, B = false
총 4가지 경우 모두 테스트해야 다중 조건 커버리지 100%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Study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처리] 14. 데이터베이스 기본, 설계, 정규화  (0) 2025.05.10
[정보 처리] 13. 소프트웨어 성능 분석, 품질 평가  (0) 2025.04.17
[정보 처리] 1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0) 2025.04.14
[정보 처리] 10. 시스템 통합 구현  (0) 2025.04.13
[정보 처리] 9. 정렬 알고리즘 이론  (0) 2025.04.12
'Study/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 처리] 14. 데이터베이스 기본, 설계, 정규화
  • [정보 처리] 13. 소프트웨어 성능 분석, 품질 평가
  • [정보 처리] 1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 [정보 처리] 10. 시스템 통합 구현
Railly Linker
Railly Linker
IT 지식 정리 및 공유 블로그
Railly`s IT 정리노트IT 지식 정리 및 공유 블로그
  • Railly Linker
    Railly`s IT 정리노트
    Railly Linker
  • 전체
    오늘
    어제
  • 공지사항

    • 분류 전체보기 (116)
      • Programming (34)
        • BackEnd (17)
        • FrontEnd (4)
        • DBMS (1)
        • ETC (12)
      • Study (81)
        • Computer Science (21)
        • Data Science (22)
        • Computer Vision (20)
        • NLP (15)
        • ETC (3)
      • Error Note (1)
      • ETC (0)
  • 인기 글

  • 최근 글

  • 최근 댓글

  • 태그

    kotlin arraylist
    jvm 메모리 누수
    데이터베이스 제약
    springboot 배포
    kotlin linkedlist
    kotlin mutablelist
    list
    지리 정보
    MacOS
    network_mode: "host"
    논리적 삭제
    docker compose
    unique
    Kotlin
    localhost
    docker 배포
    단축키
  • 링크

    • RaillyLinker Github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Railly Linker
[정보 처리] 12. 소프트웨어 테스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